학생설계전공 소개

가 만들고, 가 이루는, 의 성공스토리  학생설계전공



학생이 스스로 교과과정을 구성하여 전공을 이수하는 새로운 개념의 전공제도


2023학년도 자유전공학부 입학생부터 학생설계전공을 '기본전공(주전공)'으로 이수 (복수전공 가능)




학생설계전공의 장점



생 중심의 차별화된 학습경험 제공



관심분야에 대한 전문성 강화



다른 전공과 구별되는 독창성과 창의성



특성화 역량 강화를 통한 취업 경쟁력 제고



※ 대학의 전폭적인 지원 예정

-학생설계전공 프런티어 장학금(SFS)장학금   SFS(Student Design Major Frontier Scholarship)

-학생설계전공  글로벌역량강화교육 글로벌넥서스(Global Nexus) 프로그램

-학생설계전공 유엔협회세계연맹(WFUNA*) 한국대학생 파견 프로그램   *WFUNA(World Federation of United Nations Associations)

-학생설계전공 자치 커뮤니티 운영 활성화 비교과 프로그램(크리에이터랩, 포트폴리오, 멘토링'이음' 프로그램, 비전탐방원정대,  브라인백미팅 등)

-학생설계전공  스마트 학습환경  및 학생 친화적인 공간 제공(스마트 스터디실, 코딩라운지)

-학생설계전공  촘촘한 진로상담을 위한 진로상담 코디네이터 전문가 상담 지원(60주년 403-5호 진로상담실)








학생설계전공 트랙 (예시)


게시글 검색
  • A

    강원대학교 자유전공학부 학생설계전공 운영 지침 


    제정 2023. 4. 4.

      개정 2024. 4. 16.


    1(목적) 이 지침은강원대학교 학칙62조제2강원대학교 자유전공학부 운영 규정5조제1강원대학교 미래융합가상학과·연계전공·학생설계전공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21조의2에 따라 자유전공학부 학생이 학생설계전공을 기본전공으로 이수하는데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자유전공학부 학생설계전공위원회) ① 강원대학교 자유전공학부 학생설계전공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사항을 심의 및 조정하기 위하여 학생설계전공위원회를 둔다.

     ② 학생설계전공위원회는 위원장 및 부위원장 2인과 당연직임명직 위원을 포함하여 총 10인 내외로 구성한다

     ③ 위원장은 교양교육원장으로 하고부위원장은 춘천 및 삼척 자유전공학부장으로 한다.

     ④ 당연직 위원은 학사부처장(춘천), 교무지원부처장(삼척), 교육혁신부본부장 등 3인으로 한다

     ⑤ 임명직 위원은 교양교육원장이 임명하는 5명 내외의 전임교원으로 한다.

     ⑥ 위원장부위원장당연직 위원의 임기는 보직에 따른 재임 기간으로 한다.

     ⑦ 임명직 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되연임할 수 있다

     ⑧ 학생설계전공위원회의 위원장은 위원회를 대표하여 업무를 총괄하고회의를 소집하여 그 의장이 된다

     ⑨ 부위원장은 위원장을 보좌하고위원장이 부득이한 사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거나 궐위된 경우에는 그 직무를 대행한다.

     ⑩ 회의는 재적 위원 과반수의 출석으로 개의하고출석 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다만가부동수가 나올 때에는 위원장이 결정권을 가진다.


    3(신청인 요건 및 시기) ① 학생설계전공을 기본전공으로 이수하고자 하는 학생은 자유전공학부 운영 규정 제8조제1항 각호의 요건을 모두 갖추어야 한다.

     ② 신청시기는 매 학기 자유전공학부장이 정한 기간으로 한다.

     ③ 신청자는 별지 1호를 제출해야 한다.

    4(설치 기준) 자유전공학부 학생이 기본전공으로 이수할 수 있는 학생설계전공의 설치 기준은 다음 각호와 같다.

     1. 신청 당시 대표 학생을 포함하여 참여 학생 수가 1인 이상일 것

     2. 자유전공학부 전임교원 중 1인을 전공 지도교수로 지정할 다만 전공 지도교수를 자유전공학부 전임교원으로 정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타 학과 소속의 전임교원으로 지정 가능

      3. 설치하려는 학생설계전공의 학문 분야가 이 대학교에 설치된 정규 학과의 전공과 차별성이 있을 것

     4. 설치하려는 학생설계전공이 이미 설치된 가상학과ㆍ전공 등과 중복되지 않을 것

     5. 설치하려는 학생설계전공이 별표 1에서 정한 인력 양성 분야와 서로 관련이 없을 것

     6. 학생설계전공위원회에서 평가한 결과 100분의 80 이상의 점수를 얻을 것(다만평가 및 점수 산정 방법 등은 학생설계전공위원회에서 정한 바에 따른다)


    5(설치 허가) ① 자유전공학부 학생설계전공을 설치하려는 대표 학생은 별지 제2호 서식의 학생설계전공 설치 허가 신청서를 작성하여 총장에게 제출해야 한다

     ② 총장은 학생설계전공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승인된 전공에 대하여 설치 허가 여부를 정한다이 경우 설치 목적 및 학문 분야 등을 고려하여 전공 명칭 및 수여 학위명 등을 조정 또는 변경할 수 있다.

     ③ 4조의 설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총장은 기한을 정하여 대표 학생에게 수정 또는 보완을 요구할 수 있다다만기한 내 수정 또는 보완하지 않을 경우 신청을 취소한다


    6(학생설계전공의 정원 및 선발) ① 자유전공학부 학생설계전공 선발 인원은 매년 최대 20명으로 한다다만교육환경 및 여건 등을 고려하여 학생설계전공 선발 최대 인원수를 조정할 수 있다

    ② 자유전공학부 학생설계전공 선발은 자유전공학부장이 한다.

    ③ 자유전공학부 학생설계전공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선발한다

    1. 기존에 승인된 학생설계전공 또는 신청인이 설계한 학생설계전공이 학생설계전공위원회의 승인된 전공으로 지원한 학생 

    2. 자유전공학부장이 정한 평가 절차에 따라 평가 결과 100분의 80 이상의 점수를 얻은 학생 중 평가 점수가 높은 학생 순으로 선발


    7(학생설계전공의 교육과정) ① 자유전공학부 학생설계전공의 전공이수학점은 자유전공학부 학생설계전공 교육과정 편성표에 따른다

     ② 자유전공학부 학생설계전공의 교과목은 다음 각호의 기준을 모두 충족하여 편성하여야 한다.

      1. 전체 전공 교과목은 최소전공학점의 2.5배수 이내에서 편성하되자유전공학부에서 편성한 전공필수 교과목을 반드시 포함하고그외의 교과목은 전공선택 교과목으로 편성

     2. 이 대학교에 편성된 전공 영역 교과목 중에서 편성

     3. 강원대학교 학칙67조제3항에 의한 교과목 편성 불가

     ③ 2항제2호에 따라 편성하는 교과목은 주관하는 학과와 협의하고 주관 학과에서 편성한 학기와 일치하여야 한다.

     ④ 학생설계전공을 이수하는 학생이 편성된 교과목을 이수하여 취득한 학점은 전공영역의 학점으로 인정한다.


    8(학생설계전공의 학사 관리 등) ① 자유전공학부장 및 전공 지도교수는 자유전공학부 학생설계전공을 이수하는 재학생의 교육과정 이수를 돕기 위하여 매 학기 수강 지도를 실시한다

    ② 7조제2항제2호에 따라 학생설계전공에 편성된 교과목은 주관 학과에 안내해야 한다.


    9(졸업 요건) ① 자유전공학부 학생설계전공으로 졸업하기 위해서는 다음 각호의 기준을 모두 충족하여야 한다.

     1. 자유전공학부 학생설계전공은강원대학교 학칙」 73조 및별표5에서 정한 최소 학점 이상 취득

     2. 졸업논문실험실습보고서실기 발표졸업종합시험 등 자유전공학부장이 정하는 소정 요건에 합격 

     ② 자유전공학부 학생설계전공의 졸업 인정은 졸업 예정자가 졸업하는 학기에 실시한다.


    10(학위 수여) 총장은 졸업 예정자가 자유전공학부 학생설계전공에서 정한 졸업 요건을 모두 충족하였을 때 학위를 수여한다.


    11(학생설계전공의 취소 및 변경) ① 기본전공으로 이수하는 학생설계전공을 취소하고자 하는 학생은 별지 제3호를 제출하여 학생설계전공위원회 승인을 받은 후전과를 신청해야 한다.

    ② 1항의 절차에 따라 전과에 합격한 경우학생설계전공의 이수를 취소한다.

    ③ 학생설계전공 선택 후 다른 학생설계전공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변경 허가 및 기존에 이수한 학점의 인정 여부 등에 관해서는 학생설계전공위원회의 결정에 따른다

    ④ 학생설계전공의 전공명학위명지도교수편성교과목 등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별지 제4호를 제출하여 학생설계전공위원회 승인을 받아 변경 할 수 있다


    12(전자적 처리 등) ① 이 지침에서 정한 사항에 관한 사무는 이 대학교 전산 시스템으로 처리할 수 있다.

     ② 이 지침에 의하여 작성하는 문서는 전자문서로 작성하여 이 대학교의 시스템에서 유지 및 보관할 수 있다.

     ③ 학생설계전공위원회는 이 지침에서 정한 서식 외에 학생설계전공의 운영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따로 서식을 정할 수 있다.


    13(기타) 본 지침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학생설계전공위원회의 결정에 따른다.



    부칙(2023. 4. 4.) 

     이 지침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2024. 4. 16.) 

    1(시행일이 지침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2(경과조치이 지침은 공포일 이전에 학생설계전공을 이수하는 학생에게도 적용한다.


    [별표 1]

    학생설계전공 등으로 설치할 수 없는 분야



    관련 법령 및 근거

    양성 분야(직종)

    ⑴「고등교육법 시행령28조제3




    ① 교원 양성 분야

    󰋻교사



    의료법2조제1항에 따른 의료인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조산사

    󰋻간호사


    ③「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1조에 따른 의료기사 등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치과기공사

    󰋻치과위생사

    󰋻의무기록사

    󰋻안경사


    약사법2조제2호에 따른 약사 및 한약사

    󰋻약사

    󰋻한약사


    ⑤「수의사법2조 제1호에 따른 수의사

    󰋻수의사


    ⑵「응급의료에 관한 법률36조제2

    󰋻응급구조사


    ⑶「사회복지사업법11조제1

    󰋻사회복지사


    ⑷「국민영양관리법15조제1

    󰋻영양사




    비고

    1. 교사의 경우 교원자격검정령」 3조 및 제20조에 따라 교육부 장관의 승인을 받은 연계전공의 경우에는 설치할 수 있다.

    [별지 제1호 서식]


    자유전공학부 학생설계전공 신청서



    학생설계전공 신청자 개별 평가 항목

    학번


    성명


    학생설계전공명(국문)


    학생설계전공 신설 여부

    신규 설치

    기존 학생설계전공 진학

    O


    학생설계전공 지원 동기

    학생설계전공에 지원하게 된 동기를 작성

    기대효과 및 진로 분야

    해당 학생설계전공 이수 및 졸업 후 기대효과와 어떤 분야로 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지 본인의 실제 진로 계획을 기준으로 작성 (구체적인 직군 및 직무 등)


    [별지 제2호 서식]

    자유전공학부 학생설계전공 설치 허가 신청서


    ※ 음영 표시에는 작성하지 마십시오.

    (1)

    대상 학년도


    접수번호


    접수일자



    학생설계전공

    국문명


    영문명


    수여 학위


    참여 학과 및 편성 학점

    자유전공학부 (12학점), 컴퓨터공학과 (39학점), AI융합학과 (21학점), 실감미디어학과 (27학점), 심리학전공 (30학점)


    전 공

    지도교수

    성명


    단과대학


    연락처


    학부 ․ 학과


    전자우편


    전공



    참여

    학생

    구분

    성명

    학번

    단과대학

    학부 ․ 학과

    전공

    취득 예상

    학점

    이전 학기

    평점 평균

    대표








    참여





























    취득 예상 학점학생설계전공 신청 학기에 취득 예상되는 학점까지 포함하여 총 학점수 기입

    이전 학기 평점 평균학생설계전공 신청 학기의 직전 학기를 기준으로 한 평점 평균 기입

    강원대학교 자유전공학부 학생설계전공 운영 지침」 5조 제1항에 따라 학생설계전공을 설치하고자 위와 같이 신청합니다.

    년 월 일

    대표 학생


    (서명 또는 인)

     위 학생의 학생설계전공 설치 신청 사실을 확인합니다.

    확인자

    전공지도교수


    (서명 또는 인)

    강원대학교총장 귀하





    ※ 음영 표시에는 작성하지 마십시오.

    (2)

    학생설계전공 평가 항목

    전공 이수 목표 및 개요

    해당 학생설계전공의 핵심 개념을 요약하여 소개하고전공 이수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기술지식역량을 구체적으로 작성

    해당 전공 설계의 주안점과 설치 목적 및 사유를 충실하게 작성

    기존 학과(전공)와의 차별성

    기존 학과(전공)와 비교하여 해당 학생설계전공의 차별성을 강조하여 작성

    교육과정

    편성 사유

    전공 교육과정 편성의 이유를 교육과정 구성의 적절성학생설계전공명과 교과목 편성내역의 부합성을 고려하여 작성


    ※ 음영 표시에는 작성하지 마십시오.

    (3)

    학생설계전공 교과목 편성 내역

    *전체 교과목은 최소전공 학점(38학점)의 2.5배수 이내에서 편성함.

    *자유전공학부 전공필수과목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함.

    학년-
     학기

    연번

    학과·학부

    ·전공

    세부
     영역

    교과목
     번호

    교과목명

    강의시수

    학점

    이론

    실습

    설계

    1-2

    1

    자유전공학부

    전필

    4502001

    전공설계

    1

    0

    2

    0

    2-1

    1

    자유전공학부

    전필

    4502002

    주제탐구세미나 I

    3

    3

    0

    0

    2









    3









    4









    5









    6









    7









    2-2

    1

    자유전공학부

    전필

    4502007

    창의적문제해결방법론

    3

    3

    0

    0

    2









    3









    4









    5









    6









    7









    3-1

    1

    자유전공학부

    전필

    4503002

    인문학과과학의쟁점

    3

    3

    0

    0

    2









    3









    4









    5









    6









    7









    3-2

    1









    2









    3









    4









    5









    6









    7









    4-1

    1

    자유전공학부

    전필

    4503005

    창업및미래설계

    2

    1

    2

    0

    2









    3









    4









    5









    6









    7









    4-2

    1









    2









    3









    4









    5









    6









    7









    학점 계


    학점




    [별지 제3호서식]



    자유전공학부 학생설계전공 취소 신청서


    ※ 음영 표시에는 작성하지 마십시오.

    접수번호


    접수일자


    처리기간



    신청인

    성명


    연락처


    단과대학


    학부 ․ 학과


    전공


    학번




    취소 사유

    ※ 구체적으로 작성하여 주십시오.


     강원대학교 자유전공학부 학생설계전공 운영 지침」 11조제1항에 따라 학생설계전공을 취소하고자 합니다.

    년 월 일

    신청인


    (서명 또는 인)

      위 학생의 학생설계전공 취소 사실을 확인합니다.

    확인자

    전공지도교수


    (서명 또는 인)


     자유전공학부장


    (서명 또는 인)

    강원대학교총장 귀하





    [별지 제4호서식]



    자유전공학부 학생설계전공 변경 신청서


    ※ 음영 표시에는 작성하지 마십시오.

    접수번호


    접수일자


    처리기간



    신청인

    성명


    연락처


    단과대학


    학부 ․ 학과


    전공


    학번



    변경하려는 내용

    전공명


    학위명


    지도교수


    편성교과목



    변경 사유

    ※ 구체적으로 작성하여 주십시오.


     강원대학교 자유전공학부 학생설계전공 운영 지침」 11조제4항에 따라 학생설계전공을 변경하고자 합니다.

    년 월 일

    신청인


    (서명 또는 인)

     위 학생의 학생설계전공 변경 사실을 확인합니다.

    확인자

    전공지도교수


    (서명 또는 인)


     자유전공학부장


    (서명 또는 인)

    강원대학교총장 귀하



    [별지 제5호 서식]졸업증서(학생설계전공)



    제 호

    학위번호


    졸 업 증 서


      성명  .

     년  월  일생


      위 사람은 이 대학교 독립학부 자유전공학부 학사과정(전공명)을 이수하여 ○○학 학사(전문분야명)의 자격을 얻었으므로 이를 증명함



     년 월 일


    강원대학교 자유전공학부장 ○○학 박사 ○ ○ ○ (직인)




     위의 증명에 의하여 ○○학 학사(전문분야명)의 증서를 수여함.


      년 월 일


    강원대학교 총장 ○○학 박사 ○ ○ ○ (직인)












     [별지 제6호서식영문 졸업증서(학생설계전공


    No. (증서번호)


    Kangwon National University


    on the recommendation of the faculty

    hereby confers upon

    (영문 성명)

    the degree of (영문 학위명)

    in (영문 학과명)


    with all the rights and privileges thereto pertaining

    given at Kangwon National University,


    (영문 학위수여일자)



    (영문 서명)

    (대학장 영문 성명), (학위명)

    Dean of the College of (대학 영문명)

    (영문 서명)

    (총장 영문 성명), (학위명)

    President of the University



    Diploma No. (학위번호)


  • A

    데이터기반 지역혁신과 글로컬리더십

    (담당: 신철균 교수, 최윤정 교수)


    <트랙 필요성 및 목표하는 인재상>

    • 지역혁신과 세계의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기존의 지식과 전통적인 방식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분석, 학습 및 활용하는 태도와 지식을 갖춘 인재들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데이터 분석 능력과 문제해결력을 결합하여 세계와 지역 문제를 연결하고 끊임없이 학습하여 해결하는 학문 단위가 필요함.
    • 이러한 학문 단위에서 학습자들은 글로벌과 로컬의 통합과제를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제적 탐구와 학습을 진행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기술, 사회, 경제, 문화 등 여러 분야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음. 이를 통해 데이터 분석을 통한 전지구적인 문제해결 능력과 미래 개척 역량을 지닌 리더 양성을 목표로 함.
    • 국제적 소통 전문가와 지역 문제해결 활동가로서 활약하기 위해서는 국제와 지역의 상호 네트워킹이 중요하게 작용하며, 이를 위해 교육과정에서 다양한 국가와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글로벌 마인드를 키우는 동시에, 지역적 특성과 문제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통합할 수 있는 안목을 가진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함.


    <취업과 진로>

    • 국제 기구, ODA 사업, 지역사회 디자이너, 마을교육활동가, 사회적 협동조합 관련 정부 및 지역 공공기관, 국책연구소 연구원 등


    <교육과정> ※ 트랙 구성 참고용으로 제공하는 교과목 목록으로, 반드시 전부 수강할 필요는 없음.

    • 정치외교학, 행정학, 부동산학, 사회학, 문화인류학, 사학, 교육학, 정보통계학, 경영학, 국제무역학, 산업공학, 기계의용·메카트로닉스공학, 컴퓨터공학, 데이터사이언스학, 인지인공지능학, 지역산합협력학, 문화도시학, 창업 등

    #

    단과대학

    학과/전공

    학년-학기

    교과목번호

    교과목명

    1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과

    1-2

    4323063

    국제기구와글로벌거버넌스

    2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과

    3-1

    4323110

    글로벌지역정치

    3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2-2

    4321092

    조직행태와리더십

    4

    사회과학대학

    부동산학과

    3-2

    4322068

    도시재생론

    5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4-1

    4326040

    사회변동론

    6

    사회과학대학

    문화인류학과

    2-2

    4327069

    세계화와문화

    7

    사회과학대학

    문화인류학과

    2-2

    4327005

    문화인류학기초방법론

    8

    인문대학

    인문학부/사학전공

    4-1

    4417110

    한국지역사연구

    9

    사범대학

    교육학과

    2-1

    4274098

    학습심리학

    10

    경영대학

    경제·정보통계학부/정보통계학전공

    2-1

    4442085

    통계소프트웨어및실습

    11

    경영대학

    경영·회계학부/경영학전공

    3-1

    4111141

    마케팅리서치

    12

    경영대학

    국제무역학과

    3-1

    4115092

    빈곤과개발도상국경제

    13

    문화예술·공과대학

    에너지자원·산업공학부/산업공학전공

    3-1

    4137089

    기업가정신

    14

    문화예술·공과대학

    기계의용·메카트로닉스공학부

    2-1

    4145011

    창의도전설계

    15

    IT대학

    컴퓨터공학과

    4-1

    4471037

    기계학습

    16

    미래융합가상학과

    데이터사이언스학과

    3-2

    4705008

    SW개발도구및환경

    17

    미래융합가상학과

    데이터사이언스학과

    4-1

    4705009

    데이터마이닝

    18

    미래융합가상학과

    데이터사이언스학과

    4-2

    4705011

    빅데이터분석 및 활용

    19

    미래융합가상학과

    인지인공지능학과

    2-1

    4713002

    기계학습을위한기초통계학

    20

    미래융합가상학과

    인지인공지능학과

    2-1

    4713003

    컴퓨터와마음

    21

    미래융합가상학과

    지역산학협력학과

    3-1

    4723001

    지역기반빅데이터분석

    22

    미래융합가상학과

    문화도시학과

    2-2

    4726003

    문화도시로컬크리에이터워크샵

    23

    미래융합가상학과

    문화도시학과

    3-1

    4726006

    마을단위사업과생활문화기획

    24

    미래융합가상학과

    문화도시학과

    3-2

    4726010

    커뮤니티디자인실습

    25

    미래융합가상학과

    문화도시학과

    4-2

    4726013

    문화도시와시민주도콘텐츠실습

    26

    자유선택영역

    창업

    -

    2230052

    기업가정신과리더십

    27

    자유선택영역

    창업

    -

    2230005

    나만의창업아이템만들기

    29

    자유선택영역

    기타

    -

    2250008

    조직리더십사례연구


  • A

    디지털이노베이션과 테크놀로지

    (담당: 김우주 교수; 자문: 손경호 교수, 박성규 교수)


    <트랙 필요성 및 목표하는 인재상>

    • 국내외 기업 및 사회 전반에 걸쳐 IT기술과 비즈니스 영역이 결합한 융합형 비즈니스 모델이 출현함에 따라 대학은 다양한 IT 인프라 전반에 대한 이해와 경험, 기술력을 바탕으로 급변하는 미래사회에 새로운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진 경영 리더를 키워낼 필요가 있음.
    • 코딩,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예측 분석 등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역량과 이를 응용하여 기존의 비즈니스 모델을 수정하고, 새로운 사업을 창출, 혁신할 수 있는 효과적인 비즈니스 전략을 수립하는 역량,다양한 분야의 정형/비정형 데이터 분석 및 예측 분석을 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기획하고 운영하며 데이터 기반 디지털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진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함.
    • 급변하는 온/오프라인 시장, 미래 융합 산업, 과학기술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이에 대응하여 소비자와 기업의 니즈를 반영하는 혁신적인 경영모델을 구축할 수 있는 인재 및 디지털기술과 디지털미디어를 결합하는 융합형 비즈니스 분야에 전문성을 갖춘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함.


    <취업과 진로>

    • 비즈니스애널리스트, 데이터과학자, 빅데이터엔지니어, 데이터베이스관리자, 머신러닝엔지니어, 그로스해커, 디지털마케터, 데이터 기획자 등; 기업의 사업기획, 마케팅, 광고/홍보, R&D 등의 분야로의 취업, 데이터분석기술 및 비즈니스모델 컨설팅, 융합형 비즈니스 애널리스트, 포털 및 주요 IT기업 진출, 관련분야의 스타트업 창업 등


    <교육과정> ※ 트랙 구성 참고용으로 제공하는 교과목 목록으로, 반드시 전부 수강할 필요는 없음.

    • AI융합학, 컴퓨터공학, 경영학, 정보통계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 데이터사이언스학 등


    #

    단과대학

    학과/전공

    학년-학기

    교과목번호

    교과목명

    1

    IT대학

    AI융합학과

    2-2

    4465006

    선형대수학

    2

    IT대학

    AI융합학과

    2-1

    4465005

    AI융합기초

    3

    IT대학

    AI융합학과

    2-2

    4465011

    오픈소스프로그래밍

    4

    IT대학

    AI융합학과

    3-2

    4465018

    AI융합응용

    5

    IT대학

    컴퓨터공학과

    2-1

    4471010

    자료구조

    6

    IT대학

    컴퓨터공학과

    2-1

    4471056

    고급파이썬프로그래밍

    7

    IT대학

    컴퓨터공학과

    2-2

    4465010

    데이터분석프로그래밍

    8

    경영대학

    경영·회계학부/경영학전공

    3-1

    4111136

    글로벌비즈니스모델혁신

    9

    경영대학

    경영·회계학부/경영학전공

    3-1

    4111110

    마케팅리서치캡스톤디자인

    10

    경영대학

    경영·회계학부/경영학전공

    3-1

    4111120

    서비스마케팅캡스톤디자인

    11

    경영대학

    경영·회계학부/경영학전공

    3-1

    4111033

    전략경영

    12

    경영대학

    경영·회계학부/경영학전공

    3-1

    4111133

    신흥시장연구

    13

    경영대학

    경영·회계학부/경영학전공

    3-2

    4111119

    e-비즈니스캡스톤디자인

    14

    경영대학

    경영·회계학부/경영학전공

    3-2

    4111130

    경영분석캡스톤디자인

    15

    경영대학

    경영·회계학부/경영학전공

    3-2

    4111137

    글로벌비즈니스사례연구

    16

    경영대학

    경영·회계학부/경영학전공

    3-2

    4111116

    마케팅커뮤니케이션캡스톤디자인

    17

    경영대학

    경영·회계학부/경영학전공

    3-2

    4111117

    소비자행동캡스톤디자인

    18

    사회과학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2-1

    4324099

    컴퓨터매개커뮤니케이션

    19

    사회과학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2-1

    4324098

    광고론

    20

    사회과학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2-1

    4324105

    모바일미디어

    21

    사회과학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2-2

    4324102

    PR론

    22

    사회과학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3-1

    4324100

    미디어생산자와이용자

    23

    사회과학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3-2

    4324112

    디지털문화와커뮤니케이션

    24

    사회과학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4-2

    4324116

    미디어산업

    25

    미래융합가상학과

    데이터사이언스학과

    3-1

    4705007

    데이터시각화


    ※ 학문기초

    #

    단과대학

    학과/전공

    학년-학기

    교과목번호

    교과목명

    1

    경영대학

    경영·회계학부/경영학전공

    학문기초

    1410015

    경영경제통계

    2

    경영대학

    경제·정보통계학부/정보통계학전공

    학문기초

    1410005

    기초통계학



  • A

    과학기술 융합커뮤니케이션

    (담당: 이현옥 교수)


    <트랙 필요성 및 목표하는 인재상>

    • 산업혁명의 주기가 점점 짧아지고 있으며, 기존의 기술들을 빠르게 대체하는 새로운 기술들이 끊임없이 탄생하고 있음. 이에 따라 우리의 삶에도 다양한 첨단기술이 폭넓게 사용되고 있지만, 대중들이 이러한 첨단기술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이로 인한 사회 변화와 영향을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임.
    • 이러한 간극을 해소하고 대중들에게 첨단기술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전문가 양성이 필수적임. 전문가들은 첨단기술의 원리와 작동 방식을 명확하게 설명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사회적 변화와 영향을 예측하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됨. 이를 통해 대중들에게 첨단기술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이러한 기술을 활용하여 더 나은 미래를 구축하는데 도움이 되는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함.
    • 과학기술 중심 사회에서 다양한 첨단기술을 대중에게 소개하고 소통할 수 있는 인재를 발굴하고 육성하면 대중들이 첨단기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인식을 갖게 되면서, 기술 발전에 따른 사회 변화와 영향에 대한 대비와 적응이 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임. 이를 위해 교육과정과 특별 프로그램을 통해 첨단기술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갖춘 전문가 양성이 필요함.


    <취업과 진로>

    • 과학 전문기자, 온라인 미디어 과학 기술 콘텐츠 전문가, 의료·바이오 및 제약·에너지· 환경 관련 기업 및 공공기관·정부부처 등의 소통전문가, 과학공연가, 과학만화가, 과학관 큐레이터, 과학전시디자이너, 게임디자이너 등


    <교육과정> ※ 트랙 구성 참고용으로 제공하는 교과목 목록으로, 반드시 전부 수강할 필요는 없음.

    • 물리학, 생명과학, 지질·지구물리학, 화학, 정보통계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 디자인학, 비주얼디자인, 영상디자인, 무용학, 영상문화학, 지식재산권학, 컴퓨터공학, AI융합학, 창업벤처 등


    #

    단과대학

    학과/전공

    학년-학기

    교과목번호

    교과목명

    1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

    1-1

    4445098

    첨단기술속의물리학

    2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

    1-2

    4445043

    현대물리학

    3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2-1

    4444035

    세포·분자생물학

    4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2-1

    4444039

    분류·생태학

    5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2-2

    4444086

    유전학

    6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4-1

    4444077

    질병생물학

    7

    자연과학대학

    지질·지구물리학부

    2-1

    4431003

    지구물리학개론

    8

    자연과학대학

    지질·지구물리학부

    2-2

    4433120

    지구물리프로그래밍

    9

    자연과학대학

    화학·생화학부/화학전공

    2-1

    4446001

    유기화학1

    10

    자연과학대학

    화학·생화학부/화학전공

    2-1

    4446002

    분석화학1

    11

    자연과학대학

    화학·생화학부/화학전공

    2-1

    4446006

    물리화학1

    12

    자연과학대학

    화학·생화학부/화학전공

    2-2

    4446003

    분석화학실험

    13

    자연과학대학

    화학·생화학부/화학전공

    2-2

    4446004

    유기화학2

    14

    사회과학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2-1

    4324088

    영상편집실습

    15

    사회과학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2-1

    4324097

    미디어커뮤니케이션이론

    16

    사회과학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2-1

    4324101

    저널리즘의이해

    17

    사회과학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2-1

    4324013

    방송론

    18

    사회과학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2-1

    4324119

    방송기획및제작(캡스톤디자인)

    19

    사회과학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2-2

    4324102

    PR론

    20

    사회과학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2-2

    4324104

    미디어글쓰기와취재보도실습

    21

    문화예술·공과대학

    디자인학과

    2-1

    4221081

    시각이미지테크닉1

    22

    문화예술·공과대학

    디자인학과

    2-2

    4221082

    시각이미지테크닉2

    23

    문화예술·공과대학

    디자인학과

    2-2

    4221055

    스케치렌더링

    24

    문화예술·공과대학

    디자인학과

    3-1

    4221085

    3D디자인1

    25

    문화예술·공과대학

    디자인학과/비주얼디자인전공

    3-1

    4222084

    콘텐츠디자인1

    26

    문화예술·공과대학

    디자인학과/비주얼디자인전공

    3-2

    4222088

    콘텐츠디자인2

    27

    문화예술·공과대학

    디자인학과/비주얼디자인전공

    3-2

    4222098

    일러스트레이션기법

    28

    문화예술·공과대학

    디자인학과/영상디자인전공

    3-1

    4224076

    스토리보드및영상연출

    29

    문화예술·공과대학

    디자인학과/영상디자인전공

    3-2

    4224077

    영상촬영및편집

    30

    문화예술·공과대학

    디자인학과/영상디자인전공

    4-1

    4224060

    미디어와경영

    31

    문화예술·공과대학

    디자인학과/영상디자인전공

    4-2

    4224087

    영상디자인현장의이해

    32

    문화예술·공과대학

    영상문화학과

    1-1

    4263003

    스토리창작의기초

    33

    문화예술·공과대학

    영상문화학과

    1-2

    4263006

    공연콘텐츠의이해와감상

    34

    문화예술·공과대학

    영상문화학과

    2-1

    4263014

    게임기획

    35

    문화예술·공과대학

    영상문화학과

    2-1

    4263013

    만화와애니메이션

    36

    문화예술·공과대학

    영상문화학과

    2-2

    4263019

    방송프로그램구성

    37

    문화예술·공과대학

    영상문화학과

    3-2

    4263029

    다큐멘터리

    38

    문화예술·공과대학

    영상문화학과

    3-2

    4263026

    영상콘텐츠기획

    39

    문화예술·공과대학

    영상문화학과

    4-2

    4263040

    게임산업

    40

    미래융합가상학과 

    지식재산권학

    2-1

    4715019

    지식재산권개론

    41

    미래융합가상학과 

    지식재산권학

    2-2

    4715005

    문화예술창작과저작권

    42

    미래융합가상학과 

    지식재산권학

    3-1

    4715007

    기술발명과특허권

    43

    IT대학

    컴퓨터공학과

    2-1

    4471056

    고급파이썬프로그래밍

    44

    IT대학

    AI융합학과

    2-1

    4465002

    자료구조

    45

    IT대학

    AI융합학과

    2-2

    4465009

    모바일프로그래밍

    46

    IT대학

    AI융합학과

    2-1

    4465003

    웹프로그래밍

    47

    IT대학

    AI융합학과

    2-2

    4465011

    오픈소스프로그래밍

    48

    마이크로디그리

    창업벤처

    -

    2230005

    나만의창업아이템만들기

    49

    마이크로디그리

    창업벤처

    -

    2230007

    단계별창업전략쌓기

    50

    마이크로디그리

    창업벤처

    -

    2230011

    잘쓰는사업계획서2

    51

    마이크로디그리

    창업벤처

    -

    2230036

    창업씨드자금활용


     학문기초

    #

    단과대학

    학과/전공

    학년-학기

    교과목번호

    교과목명

    1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

    학문기초

    1410091

    일반물리학

    2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

    학문기초

    1410106 

    일반물리학및실험1

    3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

    학문기초

    1410107

    일반물리학및실험2

    4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학문기초

    1410110

    일반생물학

    5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학문기초

    1410002 

    일반생물학및실험1

    6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학문기초

    1410003 

    일반생물학및실험2

    7

    자연과학대학

    지질·지구물리학부

    학문기초

    14110094

    일반지구과학

    8

    자연과학대학

    지질·지구물리학부

    학문기초

    1410095 

    일반지구과학및실험1 

    9

    자연과학대학

    지질·지구물리학부

    학문기초

    1410096 

    일반지구과학및실험2 

    10

    자연과학대학

    화학·생화학부/화학전공

    학문기초

    1410111 

    일반화학 

    11

    자연과학대학

    화학·생화학부/화학전공

    학문기초

    1410108

    일반화학및실험1

    12

    자연과학대학

    화학·생화학부/화학전공

    학문기초

    1410109

    일반화학및실험2

    13

    경영대학

    경제·정보통계학부/정보통계학전공

    학문기초

    1410005

    기초통계학

    14

    경영대학

    경제·정보통계학부/정보통계학전공

    학문기초

    1410077

    기초통계학및SW실습

    15

    사회과학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학문기초

    1410116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의이해

    16

    문화예술·공과대학

    무용학과

    학문기초

    1410102

    문화예술교육개론

    17

    문화예술·공과대학

    영상문화학과

    학문기초

    1410059

    영화로보는예술사


  • A

    휴먼앤사이언스

    (담당: 유강하 교수)


    <트랙 필요성 및 목표하는 인재상> 

    • 사회가 고도화될수록 복잡성이 증가하고 개인의 삶은 파편화, 분절화되기 쉬운데 이는 다양한 산업, 기술, 문화 등의 발전으로 인한 현상으로, 이러한 변화 속에서 개인은 삶의 목적과 가치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음. 파편화와 분절화된 사회 속의 개인은 관계적이고 사회적 문제에 놓이기 쉬우므로 단순한 개인의 문제로 해결할 수 없고, 문화와 사회의 맥락을 고려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음.
    • 이를 위해 사회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기술에 대한 이해, 인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 사회에 대한 이해를 통해 경제, 정치, 문화 등의 다양한 요소와 그들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할 수 있으며, 기술에 대한 이해를 통해 현대 사회를 구성하는 기술적인 요소와 그 영향력을 파악할 수 있음. 또한, 인간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인간 본성, 심리, 동기 등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구축할 수 있음.
    • 이러한 다양한 관점의 이해를 바탕으로 유연한 사고를 통해 각기 다른 관점을 이해하고 융합할 수 있는 인재가 필요하며, 유연한 사고는 다양한 문제 상황에서 창의적이고 효과적인 해결책을 찾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 이를 위해 교육과정에서는 다양한 학문 분야와 전공을 통해 폭넓은 지식과 다양한 관점을 적극적으로 습득하도록 지원하며, 협력과 소통 능력을 키울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자 함.


    <취업과 진로> 

    • 임상심리사, 청소년상담사, 전문상담가, 심리상담사, 심리보건계열 전문가, 문화기획자 등


    <교육과정> ※ 트랙 구성 참고용으로 제공하는 교과목 목록으로, 반드시 전부 수강할 필요는 없음.

    • 국어국문학, 에코환경과학, 문화인류학, 사회학, 행정학, 심리학, 영상문화학, 산림과학, 공공인재융합학, 인문예술치료학, 데이터사이언스학 등


    #

    단과대학

    학과/전공

    학년-학기

    교과목번호

    교과목명

    1

    인문대학

    인문학부/국어국문학전공

    2-1

    4411076

    언어의상상력과문학

    2

    농업생명과학대학

    환경융합학부/에코환경과학전공

    2-2

    4447074

    생태학

    3

    사회과학대학

    문화인류학과

    3-1

    4327080

    현대사회와문화비평

    4

    사회과학대학

    문화인류학과

    3-2

    4327087

    환경과문화

    5

    사회과학대학

    문화인류학과

    4-1

    4327092

    문화와정체성

    6

    사회과학대학

    문화인류학과

    4-1

    4327084

    젠더와문화

    7

    사회과학대학

    문화인류학과

    4-2

    4327027

    문화와정치

    8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3-1

    4326081

    건강과질병의사회학

    9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3-2

    4326054

    환경사회학

    10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4-2

    4326082

    보건의료사회학

    11

    사회과학대학

    행정‧심리학부/행정학전공

    4-2

    4321100

    재난관리론

    12

    사회과학대학

    행정‧심리학부/심리학전공

    2-1

    4325007

    사회심리학

    13

    사회과학대학

    행정‧심리학부/심리학전공

    4-2

    4325082

    비교문화심리학

    14

    문화예술·공과대학

    영상문화학과

    2-1

    4263011

    영화분석

    15

    문화예술·공과대학

    영상문화학과

    2-2

    4263008

    게임심리학

    16

    산림환경과학대학

    산림과학부

    2-2

    4347014

    산림치유학

    17

    미래융합가상학과

    공공인재융합학과

    2-1

    4708080

    세계시민과인도주의

    18

    미래융합가상학과

    공공인재융합학과

    3-2

    4708086

    안전심리학

    19

    미래융합가상학과

    인문예술치료학과

    3-1

    4701025

    정신분석연구

    20

    미래융합가상학과

    데이터사이언스학과

    2-1

    4705001

    데이터사이언스개론

    21

    미래융합가상학과

    데이터사이언스학과

    2-2

    4471016

    알고리즘

    22

    미래융합가상학과

    데이터사이언스학과

    3-1

    4471032

    인공지능

    23

    미래융합가상학과

    데이터사이언스학과

    4-1

    4705009

    데이터마이닝

    24

    미래융합가상학과

    데이터사이언스학과

    4-2

    4705011

    빅데이터분석및활용

  • A

    크리에이터경영

    (담당: 정성미 교수)


    <트랙 필요성 및 목표하는 인재상>

    •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의 첨단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에 적응하고 혁신을 주도할 실천적이고 창의적인 인재들이 필요함. 이를 위해서는 교육 과정에서 다양한 기술 및 분야에 대한 지식과 실용적인 능력을 갖추도록 지원할 뿐만 아니라, 창의적 사고와 협력 능력을 길러야 함.
    •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환경의 변화로 인해 사회와 영상문화에 대한 이해와 경영 마인드를 갖춘 영상문화‧경영융합인재가 필요함. 이를 위해, 영상 제작 기술, 미디어 이론, 시각 문화에 대한 교육과 함께, 경영 전략, 마케팅, 기획 등의 핵심 경영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교육과정과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실행할 수 있는 실용적인 능력을 기르는 프로젝트 기반의 학습 환경을 제공하고자 함.
    • 인문학적 상상력과 성찰 능력을 겸비한 자기주도적 창업경영 인재를 발굴하기 위해서는, 인문학과 경영학의 융합적 교육이 필요함. 인문학 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사회, 문화, 역사 등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함께 인간의 가치와 삶에 대한 성찰을 배울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경영학과 창업에 관련된 교육을 진행함으로써, 학생들은 기업가 정신과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마인드를 갖춘 인재 양상을 목표로 함.


    <취업과 진로>

    • 인터넷 크리에이터, 1인 방송 제작자, 스토리텔링작가, 방송작가, 문화기획자, 문화콘텐츠 제작자 등


    <교육과정> ※ 트랙 구성 참고용으로 제공하는 교과목 목록으로, 반드시 전부 수강할 필요는 없음.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 심리학, 사회학, 영상문화학, 경영학, 인문예술치료학 등


    #

    단과대학

    학과/전공

    학년-학기

    교과목번호

    교과목명

    1

    사회과학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2-1

    4324088

    영상편집실습

    2

    사회과학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2-1

    4324097

    미디어커뮤니케이션이론

    3

    사회과학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2-1

    4324119

    방송기획및제작(캡스톤디자인)

    4

    사회과학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2-2

    4324102

    PR론

    5

    사회과학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2-2

    4324104

    미디어글쓰기와취재보도실습

    6

    사회과학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2-2

    4324121

    모바일미디어(캡스톤디자인)

    7

    사회과학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3-1

    4324100

    미디어생산자와이용자

    8

    사회과학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3-1

    4324108

    유튜브캡스톤디자인

    9

    사회과학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3-2

    4324112

    디지털문화와커뮤니케이션

    10

    사회과학대학

    행정‧심리학부/심리학전공

    2-1

    4325007

    사회심리학

    11

    사회과학대학

    행정‧심리학부/심리학전공

    3-2

    4325071

    소비자심리학

    12

    사회과학대학

    행정‧심리학부/심리학전공

    4-2

    4325082

    비교문화심리학

    13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2-1

    4326022

    현대사회와사회문제

    14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3-2

    4326047

    현대사회론

    15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4-1

    4326078

    문화사회학

    16

    문화예술·공과대학

    영상문화학과

    1-1

    4263003

    스토리창작의기초

    17

    문화예술·공과대학

    영상문화학과

    1-2

    4263006

    공연콘텐츠의이해와감상

    18

    문화예술·공과대학

    영상문화학과

    2-1

    4263002

    디지털그래픽스

    19

    문화예술·공과대학

    영상문화학과

    2-1

    4263011

    영화분석

    20

    문화예술·공과대학

    영상문화학과

    2-1

    4263012

    캐릭터와플롯

    21

    문화예술·공과대학

    영상문화학과

    3-2

    4263009

    영상타이포그래피

    22

    문화예술·공과대학

    영상문화학과

    3-1

    4263023

    문화산업전략론

    23

    문화예술·공과대학

    영상문화학과

    4-1

    4263036

    영상콘텐츠제작

    24

    문화예술·공과대학

    영상문화학과

    4-2

    4263045

    글로컬리티와문화콘텐츠

    25

    경영대학

    경영‧회계학부

    2-1,2

    4116002

    재무관리

    26

    경영대학

    경영‧회계학부/경영학전공

    2-1,2

    4111057

    인적자원관리

    27

    경영대학

    경영‧회계학부/경영학전공

    3-1,2

    4111033

    전략경영

    28

    경영대학

    경영‧회계학부/경영학전공

    3-1

    4111141

    마케팅리서치

    29

    경영대학

    경영‧회계학부/경영학전공

    3-1

    4111142

    서비스마케팅

    30

    경영대학

    경영‧회계학부/경영학전공

    3-2

    4111074

    리더십

    31

    경영대학

    경영‧회계학부/경영학전공

    3-2

    4111124

    창업캡스톤디자인

    32

    미래융합가상학과

    인문예술치료학과

    2-2

    4701004

    글쓰기치료

    33

    미래융합가상학과

    인문예술치료학과

    3-1

    4701007

    기억과서사

    34

    미래융합가상학과

    인문예술치료학과

    3-1

    4701025

    정신분석연구

    35

    미래융합가상학과

    인문예술치료학과

    4-1

    4701027

    의사소통론


    ※ 학문기초

    #

    단과대학

    학과/전공

    학년-학기

    교과목번호

    교과목명

    1

    경영대학

    경영‧회계학부

    학문기초

    1410015

    경영경제통계

    2

    경영대학

    경영‧회계학부

    학문기초

    1410014

    경영학원론



  • A

    강원대학교 자유전공학부 학생설계전공 운영 지침


    제정 2023. 4. 4.


    1(목적) 이 지침은 강원대학교 자유전공학부 운영 규정5조제1강원대학교 미래융합가상학과·연계전공·학생설계전공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21조의2에 따라 자유전공학부 학생이 학생설계전공을 기본전공으로 이수하는데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자유전공학부 학생설계전공위원회) ① 강원대학교 자유전공학부 학생설계전공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사항을 심의 및 조정하기 위하여 학생설계전공위원회를 둔다.

     ② 학생설계전공위원회는 위원장 및 부위원장 2인과 당연직임명직 위원을 포함하여 총 8인 이내로 구성한다

     ③ 위원장은 교양교육원장으로 하고부위원장은 춘천 및 삼척 자유전공학부장으로 한다.

     ④ 당연직 위원은 학사부처장(춘천), 교무지원부처장(삼척), 교육혁신부본부장 등 3인으로 한다

     ⑤ 임명직 위원은 자유전공학부 전임교원 중 교양교육원장이 임명하는 2인 이내로 한다.

     ⑥ 위원장부위원장당연직 위원의 임기는 보직에 따른 재임 기간으로 한다.

     ⑦ 임명직 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되연임할 수 있다

     ⑧ 학생설계전공위원회의 위원장은 위원회를 대표하여 업무를 총괄하고회의를 소집하여 그 의장이 된다

     ⑨ 부위원장은 위원장을 보좌하고위원장이 부득이한 사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거나 궐위된 경우에는 그 직무를 대행한다.

     ⑩ 회의는 재적 위원 과반수의 출석으로 개의하고출석 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다만가부동수가 나올 때에는 위원장이 결정권을 가진다.


    3(신청인 요건 및 시기) ① 학생설계전공을 기본전공으로 이수하고자 하는 학생은 자유전공학부 운영 규정 제8조제1항 각호의 요건을 모두 갖추어야 한다.

     ② 신청시기는 매 학기 자유전공학부장이 정한 기간으로 한다.

    4(설치 기준) 자유전공학부 학생이 기본전공으로 이수할 수 있는 학생설계전공의 설치 기준은 다음 각호와 같다.

     1. 신청 당시 대표 학생을 포함하여 참여 학생 수가 1인 이상일 것

     2. 자유전공학부 전임교원 중 1인을 전공 지도교수로 지정할 다만 전공 지도교수를 자유전공학부 전임교원으로 정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타 학과 소속의 전임교원으로 지정 가능

      3. 설치하려는 학생설계전공의 학문 분야가 이 대학교에 설치된 정규 학과의 전공과 차별성이 있을 것

     4. 설치하려는 학생설계전공이 이미 설치된 가상학과ㆍ전공 등과 중복되지 않을 것

     5. 설치하려는 학생설계전공이 별표 1에서 정한 인력 양성 분야와 서로 관련이 없을 것

     6. 학생설계전공위원회에서 평가한 결과 100분의 80 이상의 점수를 얻을 것(다만평가 및 점수 산정 방법 등은 학생설계전공위원회에서 정한 바에 따른다)


    5(설치 허가 신청서) ① 자유전공학부 학생설계전공을 설치하려는 대표 학생은 별지 제1호 서식의 학생설계전공 설치 허가 신청서를 작성하여 총장에게 제출해야 한다

     ② 총장은 다음 각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 학생설계전공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설치 허가 여부를 정한다이 경우 설치 목적 및 학문 분야 등을 고려하여 전공 명칭 및 수여 학위명 등을 조정 또는 변경할 수 있다.

     1. 4조 각호에서 정한 설치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

     2. 7조 따라 편성한 교과목 운영 학과의 장이 모두 동의한 경우 

     ③ 4조의 설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총장은 기한을 정하여 대표 학생에게 수정 또는 보완을 요구할 수 있다다만기한 내 수정 또는 보완하지 않을 경우 신청을 취소한다.


    6(학생설계전공의 정원 및 선발) 자유전공학부 학생설계전공의 최소 정원은 1명 이상으로 하고최대 정원은 20으로 한다다만학생설계전공위원회는 교육환경 및 여건 등을 고려하여 각 학생설계전공의 최대 정원과 총 정원을 조정할 수 있다


    7(학생설계전공의 교육과정) ① 자유전공학부 학생설계전공의 최소전공학점은 38학점으로 정한다.

     ② 자유전공학부 학생설계전공의 교과목은 다음 각호의 기준을 모두 충족하여 편성하여야 한다

      1. 전체 전공 교과목은 제1항에 따른 최소전공학점의 2배 학점 수 이내에서 편성하되자유전공학부에서 편성한 전공필수 교과목을 반드시 포함하고그외의 교과목은 전공선택 교과목으로 편성

     2. 이 대학교에 편성된 전공 영역 교과목 중에서 편성

     3. 강원대학교 학칙67조제3항에 의한 교과목 편성 불가

     ③ 2항제2호에 따라 편성하는 교과목은 주관하는 정규 학과에서 정한 학기와 일치하여야 한다.

     ④ 학생설계전공을 기본전공으로 이수하는 학생이 편성된 교과목을 이수하여 취득한 학점은 전공영역의 학점으로 인정한다.


    8(학생설계전공의 학사 관리 등) 자유전공학부장 및 전공 지도교수는 자유전공학부 학생설계전공을 이수하는 재학생의 교육과정 이수를 돕기 위하여 매 학기 수강 지도를 실시한다


    9(졸업 요건) ① 자유전공학부 학생설계전공으로 졸업하기 위해서는 다음 각호의 기준을 모두 충족하여야 한다.

     1. 자유전공학부 학생설계전공은강원대학교 학칙」 73조 및별표5에서 정한 최소 학점 이상 취득

     2. 졸업논문실험실습보고서실기 발표졸업종합시험 등 자유전공학부장이 정하는 소정 요건에 합격 

     ② 자유전공학부 학생설계전공의 졸업 인정은 졸업 예정자가 졸업하는 학기에 실시한다.


    10(학위 수여) 총장은 졸업 예정자가 자유전공학부 학생설계전공에서 정한 졸업 요건을 모두 충족하였을 때 학위를 수여한다.


    11(학생설계전공의 취소 및 변경) ① 기본전공으로 이수하는 학생설계전공을 취소하고자 하는 학생은 학생설계전공위원회에서 요구하는 소정의 서식을 구비하여 승인을 받은 후전과를 신청해야 한다.

    ② 1항의 절차에 따라 전과에 합격한 경우학생설계전공의 이수를 취소한다.

    ③ 학생설계전공 선택 후 다른 학생설계전공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변경 허가 및 기존에 이수한 학점의 인정 여부 등에 관해서는 학생설계전공위원회의 결정에 따른다


    12(전자적 처리 등) ① 이 지침에서 정한 사항에 관한 사무는 이 대학교 전산 시스템으로 처리할 수 있다.

     ② 이 지침에 의하여 작성하는 문서는 전자문서로 작성하여 이 대학교의 시스템에서 유지 및 보관할 수 있다.

     ③ 학생설계전공위원회는 이 지침에서 정한 서식 외에 학생설계전공의 운영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따로 서식을 정할 수 있다.


    13(기타) 본 지침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학생설계전공위원회의 결정에 따른다.


    부칙(2023. 4. 4.)

     이 지침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별표 1]

    학생설계전공 등으로 설치할 수 없는 분야



    관련 법령 및 근거

    양성 분야(직종)

    ⑴「고등교육법 시행령28조제3




    ① 교원 양성 분야

    󰋻교사



    의료법2조제1항에 따른 의료인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조산사

    󰋻간호사


    ③「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1조에 따른 의료기사 등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치과기공사

    󰋻치과위생사

    󰋻의무기록사

    󰋻안경사


    약사법2조제2호에 따른 약사 및 한약사

    󰋻약사

    󰋻한약사


    ⑤「수의사법2조 제1호에 따른 수의사

    󰋻수의사


    ⑵「응급의료에 관한 법률36조제2

    󰋻응급구조사


    ⑶「사회복지사업법11조제1

    󰋻사회복지사


    ⑷「국민영양관리법15조제1

    󰋻영양사




    비고

    1. 교사의 경우 교원자격검정령」 3조 및 제20조에 따라 교육부 장관의 승인을 받은 연계전공의 경우에는 설치할 수 있다.

    [별지 제1호 서식]


    자유전공학부 학생설계전공 설치 허가 신청서


    ※ 음영 표시에는 신청인이 적지 않으며, [ ]에는 해당하는 곳에 표를 합니다.

    (1)

    대상 학년도


    접수번호


    접수일자



    설치하려는

    학생설계전공

    국문명


    영문명


    수여 학위


    학문 분야



    전 공

    지도교수

    성명


    단과대학


    연락처


    학부 ․ 학과


    전자우편


    전공



    참여

    학생

    구분

    성명

    학번

    단과대학

    학부 ․ 학과

    전공

    취득

    학점

    평점

    평균

    이수 방법

    기본

    전공

    복수

    전공

    대표








    [ ]

    [ ]

    참여








    [ ]

    [ ]








    [ ]

    [ ]








    [ ]

    [ ]








    [ ]

    [ ]

     강원대학교 미래융합가상학과 ․ 연계전공 ․ 학생설계전공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 18조제1항에 따라 학생설계전공을 설치하고자 위와 같이 신청합니다.

    년 월 일

    대표 학생


    (서명 또는 인)

     위 학생의 학생설계전공 설치 신청 사실을 확인합니다.

    확인자

    전공지도교수


    (서명 또는 인)

    강원대학교총장 귀하


    첨부 서류

     (없음)

    수수료

    없 음

    210mm×297mm[백상지(80g/)]



    ※ 음영 표시에는 작성하지 마십시오.

    (2)

    설치 목적 및 졸업 요건 등

    설치 목적


    교육과정

    편성 사유


    졸업 요건

     1. 최소전공학점(38) : ( )학점

     


    학생설계전공 교과목 편성 내역

    번호

    학년

    학기

    이수

    구분

    교과목번호

    교과목명

    학점-시수

    개설 학과

    비고

    1








    2








    3








    4








    5








    6








    7








    8








    9








    10








    210mm×297mm[백상지(80g/)]









































    [별지 제2호 서식]졸업증서(학생설계전공)



    제 호

    학위번호


    졸 업 증 서


     성명 .

     년 월 일생


      위 사람은 이 대학교 독립학부 자유전공학부 학사과정(전공명)을 이수하여 ○○학 학사(전문분야명)의 자격을 얻었으므로 이를 증명함



     년 월 일


    강원대학교 자유전공학부장 ○○학 박사 ○ ○ ○ (직인)




     위의 증명에 의하여 ○○학 학사(전문분야명)의 증서를 수여함.


      년 월 일


    강원대학교 총장 ○○학 박사 ○ ○ ○ (직인)












     [별지 제3호서식영문 졸업증서(학생설계전공


    No. (증서번호)


    Kangwon National University


    on the recommendation of the faculty

    hereby confers upon

    (영문 성명)

    the degree of (영문 학위명)

    in (영문 학과명)


    with all the rights and privileges thereto pertaining

    given at Kangwon National University,


    (영문 학위수여일자)



    (영문 서명)

    (대학장 영문 성명), (학위명)

    Dean of the College of (대학 영문명)

    (영문 서명)

    (총장 영문 성명), (학위명)

    President of the University



    Diploma No. (학위번호)